명지대학교 이영권 박사는
네트워크 마케팅에 대하여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마케팅은
이미 선진국에서
전문직의 하나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네트워크 마케팅이
행복한 삶의 요소를 두루 갖춘
균형잡힌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면서
엄청난 부와 잉여수입을 얻을 수 있은
유일한 사업이기 때문입니다.
네트워크 마케팅은
이미 기반이 다져진 유통방식이며
이를 토대로 앞으로는
더욱 안정적으로 발전할 것입니다. 라고
“한국 경제의 대안. 왜? 네트워크 마케팅인가?”에서 설명합니다.
인천 제능대학교 송진구 교수는
“복제의 기술”이란 저서에서.
네트워크 마케팅의 장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첫째
초기 투자 비용의 부담이 없습니다.
점포 사업에 소요되는
수천에서 수억의 자본에서 자유로우며
그저 본인의 활동경비만으로
고수익을 올리 수 있습니다.
둘째
리스크가 없습니다.
점포 사업에서 생길 수 있은
많은 리스크를 헤징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은 네트워크 사업입니다.
셋째
수익의 구조입니다.
점포 사업이나 직장생활에서
얻어지는 수익은 일점 금액을
넘을 수 없는 유한의 수익이지만
네트워크 사업은 얼마던지
고 수익을 얻을 수 있은 구조입니다.
넷째
제품의 검증입니다.
점포사업은 경영자에 의하여 제품이
만들어 지고 고객에 의하여 검증받지만 네트워크 마케팅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전문가 또는 전문 기관의 검증을 받은 제품들입니다.
다섯째
구매빈도입니다.
식당을 창업하면 아무리 손님이
많이와도 그 숫자는 제한적입니다.
자동차 시장 역시 한번 구입하면
최소 5~6년은 걸리지만 네트워크
마케팅에서 취급하는 제품의 대부분은 매일 사용하여야 하는 생필품. 건강식품. 화장품. 등으로 지속적인 구매가
이루어 집니다.
여섯째
장래성입니다.
점포사업이나 여타 다른 사업은
건 별로 수입이 종료됩니다.
내가 망하거나 문들 닫으면
그것으로 끝이지요.
그러나
네트워크 사업은 수익이 누적되는
것은 물론이요 신기하게도 상속이
가능합니다. 물론 오래 하면 할수록
누적 수익이 더 늘어 납니다.
결론입니다.
리스크를 완벽하게 헤징할 수 있는
네트워크 사업에 남은 인생을 투자
하십시오.
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리스크를 완벽하게 막을 수 있는 네트워크는 L.S.G 입니다.
경제평론가인 엄길청 경기대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소비라는 경험은 하나의 사업이 될 수 있다”면서
“현명한 소비를 한 뒤 다른 사람에게
그 경험을 알려줄 때 돈을 받는다면
경험 마케팅이 된다”고 말합니다.
엄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마케팅은 제품과 함께,
자신의 소비경험에 대해서도 역시 비용을 받는 셈입니다.
엄 교수는 “최종 소비자가 네트워크
마케팅 업계 종사자인 프로슈머에게 ‘현명한 소비 경험’에 대한 일종의
대리인 비용을 준다고 보면 된다”고 말씀하시고 있습니다.
김태수 동의대학교 법학박사는 강연에서 네트워크 마케팅을 다음과 같이 요약합니다.
"네트워크 마케팅 지금 당장 하라!
우리는 2만 달러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이 시대에 마지막으로 폭발할 수 있는 유통,
개인이 백만장자 반열에 오를 수 있는 유일한 도구는 네트워크 마케팅입니다.
몇 년 전 방한한 빌 게이츠는 연세대학교에서 강연한 후 학생들에게 질문을 받았습니다.
"만약 당신이 소프트웨어 산업을 하지 않았고 새로운 사업에 도전한다면 어떤 분야에 관심을 갖겠느냐?"고 묻자,
빌 게이츠는 "예전에 CNN 인터뷰에서 말했던 것처럼 나는 네트워크 마케팅을 하겠다."고 대답했습니다.
그것도
"Right now"(지금 당장),
그것도 "in Korea."(한국에서).
누가 이 소리를 하였을까요?
바로 빌 게이츠입니다.
그것도
"지금 당장 한국에서 네트워크 마케팅 사업을 하겠다" 고 말했습니다.
그는 무엇을 봤다는 것일까요?
거대한 흐름을 봤다는 것입니다.
이 기회를 잡을 것인가 아닌가를 삼성이나 LG경제연구소에게 물어 보겠습니까?
아니면 수퍼아저씨나 길 가는 사람에게 물어 보겠습니까?
정답은 이미 나와 있습니다.
성공할 때까지
사업을 진행하십시요.
그리고 포기하지 마십시요.
그렇습니다.
21세게 꿈의 마케팅이라는
네트워크 마케팅 사업을 제안합니다.
리스크가 완벽하게 헤징되는 사업.
무한 수익의 가능성이 열려 있는 사업.
네트워크 마케팅 사업에 도전하시길
권유드립니다.
'[ 유니시티 ] > Vis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시티의 비젼 2018 (0) | 2018.03.22 |
---|---|
[유니시티] 왜 지금인가 왜 유니시티인가 (0) | 2017.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