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맞추기로 공감하기 맞추기 훈련 1. 상대방의 자세,동작,표정과 호흡을 잘 관찰한다. 2. 먼저 호흡을 관찰하고 '호흡맞추기(Pacing);를 한다. 호흡은 물론 말의 속도를 맞추는 것이다. 3. 자세,동작,표정을 께속 관찰하면서 특별히 무의식적인 동작에 '동작 맞추기(Mirroring)'를 한다. 4.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는 가운.. <몸의 언어> (19)/ 공 감 2018.03.30
2. 생생하게 상상을 조각하기 생생하게 상상을 조각하기 1. 상대방을 가장 잘 이해하는 방법은 바로 그 사람이 되어 보는 것이다. 2. 특정 몸짓이나 동작은 한 사람의 내면상태를 나타낸다. 그 행위를 통해 나와 다른 사람도 이해하고 적응한다. 3. 상상만으로도 지금 당장 만나고 싶은 사람을 불러와 특별한 관계를 맺.. <몸의 언어> (19)/ 공 감 2018.03.30
3. 접촉의 경험 접촉의 경험 1. 손에 손을 맞잡고 다른 사람을 만져보고 몸을 맞대며 접촉을 시도한다. 2. 가족이나 다른 사람이 함께 할 수 있다면 작접 몸을 맞대고 접촉하는 상황을 만든다. 3. 직접 만날 수 없더라도 상상의 대상과 접촉하며 몸을 움직여 경험한다. <몸의 언어> (19)/ 공 감 2018.03.30
4. 연극으로 삶을 경험하기 연극으로 삶을 경험하기 1. 연극의 목적을 메타포 말한다. 2. 연극 실행전에 간단한 동작을 경험하도록 안내한다. 과제를 제시하고 그것을 해내는 경험을 만든다. 3. 이제 참여자 스스로 과제를 만들어서 온몸으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4. 목적을 정하고 연극의 기본 구조.. <몸의 언어> (19)/ 공 감 2018.03.30
5. 구체적으로 질문하는 방법 메타모델의 왜곡을 바로잡는 질문 사용법 1. 상대방이 전하는 말을 들으면서 메타모델의 생략,변형,일반화된 부분을 찾아낸다. 2. 메타모델의 왜곡현상이 들릴 때마다 항상 질문으로 원형을 확인한다. 3. 상대방이 말하는 내용을 내가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질문을 계속한다. 4. 변.. <몸의 언어> (19)/ 공 감 2018.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