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제별 ]/대사증후군

미토콘드리아와 대사증후군

유니시티황 2018. 1. 9. 11:25

미토콘드리아


● 대사증후군의 정의(3가지 이상)

① 복부비만 : 허리둘레 > 102 Cm (>40 in) in men > 88 Cm (>35 in) in women
② 고중성지방혈증 (hypertriglyerides) : ≥150 mg/dl
③ 저HDL-콜레스테롤혈증 (low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40 mg/dl in men <50 mg/dl in women
④ 고혈압 : ≥130/≥85 mmHg ⑤ 고혈당 : 공복 혈당 ≥110 mg/dl


● 미토콘드리아와 인슐린 저항성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저하가 인슐린 저항성을 초래
미토콘드리아 인산화 활성도와 근육세포내 지방 함량이 역상관 관계를 보이는 사실로부터 노화와 함께 나타나는 인슐린 저항성은 미토콘드리아의 산화와 인산화 활성의 감소로 인한 근육세포내 지방산 대사물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노화에 따라 나타나는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커플링의 감소는 뚜렷한 미토콘드리아의 결손에 의한 것이 아니라 미토콘드리아의 수 또는 기능의 경한 감소가 노화, 인슐린 저항성, 비만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의 원인이 될 것이라는 가설과 일치하는 것이다.


● 비만과 인슐린저항성

Matuszawa: 내장 지방의 증가와 이로 인한 지방 분해의 증가 및 유리 지방산의 증가가 인슐린 저항성의 중심적인 병태생리임을 주장 
CT scan으로 측정한 복부 지방의 양 또는 허리둘레와 인슐린감수성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들이 인과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
미토콘드리아의 이상이 복부 비만 또는 인슐린저항성과 연관이 있음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