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어 봐야 소용없어. 식도, 위 거쳐서 장에 도착할 때까지 유산균이 살아 있을 리가 없잖아.”
마음먹고 몸에 좋다는 유산균 캡슐을 입에 털어넣을 때, 주변 사람으로부터 한 번쯤은 들었을 만한 얘기다. ‘최소한 나쁠 건 없겠지’란 심정으로 캡슐을 목구멍으로 넘기지만 이왕이면 몸에 좋기를 바라는 것이 사람들의 심정이다. 이런 우려가 희석될 만한 소식이 있다.
일동제약이 목으로 넘긴 캡슐이 장까지 살아서 가고, 장에 도착한 후에는 유산균의 증식을 돕는 ‘4중 코팅’ 공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서다. 이 기술은 체내에 들어가서 건강에 좋은 효과를 주는 살아 있는 유산균을 수용성 폴리머, 히알루론산, 다공성입자, 단백질의 순서로 4번 코팅한 것이다.
일동제약 관계자의 말이다.
“4겹의 코팅이 각각 유산균을 장까지 안전하게 도달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단백질과 다공성입자 성분은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이 소화기관인 위와 십이지장을 거치면서 위산과 담즙산에 의해 파괴되지 않도록 돕습니다. 점성이 강한 히알루론산 성분은 유산균이 장에 도달한 후에 소장과 대장의 벽에 잘 달라붙도록 도움을 줍니다. 이 코팅 기술로 인해 유산균이 장까지 무사히 도착하고, 증식을 통해 장 운동을 원활하게 돕습니다.”
이 ‘4중 코팅’ 공법으로 만든 제품은 ‘지큐랩데일리’와 ‘지큐랩에스’, ‘지큐랩키즈’ 등 3가지다. ‘지큐랩데일리’는 유산균 100억 CFU(프로바이오틱스 균총의 수를 표시하는 단위)에 아연을 보강한 장 건강기능 식품이다. ‘지큐랩에스’는 여성을 타깃으로, 원활한 배변활동에 초점을 맞췄고, ‘지큐랩키즈’는 어린이들을 위한 장 건강기능 식품으로 아연, 비타민D가 포함돼 있다.
일동제약은 사실 프로바이오틱스 연구 분야의 선구자다. 첫 연구를 시작한 것은 1957년이다. 2년 뒤인 1959년 우리나라 최초로 ‘비오비타’라는 유산균제를 내놨다. 이후에도 회사는 프로바이오틱스 연구를 통해서 균을 배양하고, 이를 제품화하는 데 열을 올려 왔다. 프로바이오틱스 분야에서 다수의 원천기술과 상용 특허도 갖고 있다. 일동제약의 ‘유산균 사랑’은 회사 내 조직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일동제약은 국내 제약회사로는 드물게, 사내에 별도의 프로바이오틱스 조직을 갖고 있다. 또 이 유산균 제품만을 생산할 수 있는 대량생산 공장이 있다. 프로바이오틱스와 관련한 연구개발에서부터 원료생산, 제품화, 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을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한국인의 腸·모유에서 분리한 유산균 ”
일동제약이 이번에 내놓은 ‘지큐랩’ 시리즈는 회사 60년 연구의 산물이다. 일동제약 프로바이오틱스사업팀 이승식 팀장은 “일동제약이 60년간 축적된 프로바이오틱스균주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장기간 준비한 제품”이라며 “가장 앞선 품질과 기능의 프로바이오틱스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종합비타민 시장의 ‘아로나민’처럼 장 건강기능 식품 분야에서 ‘지큐랩’의 이미지를 갖겠다는 포부다.
회사가 이번 브랜드를 론칭하면서 이름을 ‘지큐랩’으로 정한 것에서도 이와 같은 의지가 엿보인다. ‘지큐랩’의 ‘지큐(GQ)’는 일동제약이 생각하는 장 건강지수다. IQ(지능발달지수), EQ(감성지수)처럼 소화기관인 장의 건강지수를 매겨 보자는 차원에서 브랜드 이름을 이같이 정했다고 한다.
일동제약의 ‘지큐랩’의 또 다른 특징은 건강한 한국인의 장과 모유에서 분리한 프로바이오틱스를 배양했다는 점이다. 일동제약 관계자는 “음식 문화에 따라 사람들의 장은 상태나 길이가 각각 다르다”며 “한국인에게는 한국인의 장이나 모유에서 분리한 유산균이 가장 유익하다”고 말했다. 일동제약이 ‘장 건강 지킴이’ 제품을 생산하는 제약회사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마음먹고 몸에 좋다는 유산균 캡슐을 입에 털어넣을 때, 주변 사람으로부터 한 번쯤은 들었을 만한 얘기다. ‘최소한 나쁠 건 없겠지’란 심정으로 캡슐을 목구멍으로 넘기지만 이왕이면 몸에 좋기를 바라는 것이 사람들의 심정이다. 이런 우려가 희석될 만한 소식이 있다.
일동제약이 목으로 넘긴 캡슐이 장까지 살아서 가고, 장에 도착한 후에는 유산균의 증식을 돕는 ‘4중 코팅’ 공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서다. 이 기술은 체내에 들어가서 건강에 좋은 효과를 주는 살아 있는 유산균을 수용성 폴리머, 히알루론산, 다공성입자, 단백질의 순서로 4번 코팅한 것이다.
일동제약 관계자의 말이다.
“4겹의 코팅이 각각 유산균을 장까지 안전하게 도달하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단백질과 다공성입자 성분은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이 소화기관인 위와 십이지장을 거치면서 위산과 담즙산에 의해 파괴되지 않도록 돕습니다. 점성이 강한 히알루론산 성분은 유산균이 장에 도달한 후에 소장과 대장의 벽에 잘 달라붙도록 도움을 줍니다. 이 코팅 기술로 인해 유산균이 장까지 무사히 도착하고, 증식을 통해 장 운동을 원활하게 돕습니다.”
이 ‘4중 코팅’ 공법으로 만든 제품은 ‘지큐랩데일리’와 ‘지큐랩에스’, ‘지큐랩키즈’ 등 3가지다. ‘지큐랩데일리’는 유산균 100억 CFU(프로바이오틱스 균총의 수를 표시하는 단위)에 아연을 보강한 장 건강기능 식품이다. ‘지큐랩에스’는 여성을 타깃으로, 원활한 배변활동에 초점을 맞췄고, ‘지큐랩키즈’는 어린이들을 위한 장 건강기능 식품으로 아연, 비타민D가 포함돼 있다.
일동제약은 사실 프로바이오틱스 연구 분야의 선구자다. 첫 연구를 시작한 것은 1957년이다. 2년 뒤인 1959년 우리나라 최초로 ‘비오비타’라는 유산균제를 내놨다. 이후에도 회사는 프로바이오틱스 연구를 통해서 균을 배양하고, 이를 제품화하는 데 열을 올려 왔다. 프로바이오틱스 분야에서 다수의 원천기술과 상용 특허도 갖고 있다. 일동제약의 ‘유산균 사랑’은 회사 내 조직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일동제약은 국내 제약회사로는 드물게, 사내에 별도의 프로바이오틱스 조직을 갖고 있다. 또 이 유산균 제품만을 생산할 수 있는 대량생산 공장이 있다. 프로바이오틱스와 관련한 연구개발에서부터 원료생산, 제품화, 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을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한국인의 腸·모유에서 분리한 유산균 ”
일동제약이 이번에 내놓은 ‘지큐랩’ 시리즈는 회사 60년 연구의 산물이다. 일동제약 프로바이오틱스사업팀 이승식 팀장은 “일동제약이 60년간 축적된 프로바이오틱스균주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장기간 준비한 제품”이라며 “가장 앞선 품질과 기능의 프로바이오틱스 브랜드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종합비타민 시장의 ‘아로나민’처럼 장 건강기능 식품 분야에서 ‘지큐랩’의 이미지를 갖겠다는 포부다.
회사가 이번 브랜드를 론칭하면서 이름을 ‘지큐랩’으로 정한 것에서도 이와 같은 의지가 엿보인다. ‘지큐랩’의 ‘지큐(GQ)’는 일동제약이 생각하는 장 건강지수다. IQ(지능발달지수), EQ(감성지수)처럼 소화기관인 장의 건강지수를 매겨 보자는 차원에서 브랜드 이름을 이같이 정했다고 한다.
일동제약의 ‘지큐랩’의 또 다른 특징은 건강한 한국인의 장과 모유에서 분리한 프로바이오틱스를 배양했다는 점이다. 일동제약 관계자는 “음식 문화에 따라 사람들의 장은 상태나 길이가 각각 다르다”며 “한국인에게는 한국인의 장이나 모유에서 분리한 유산균이 가장 유익하다”고 말했다. 일동제약이 ‘장 건강 지킴이’ 제품을 생산하는 제약회사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_r.asp?ctcd=F&nNewsNumb=201512100043